대표적으로 PCB기판 관련 종목은 심텍, 대덕전자, 코리아써키트가 있다.

(이수페타시스, 인터플렉스 등은 제외하고 위의 3사를 선정했다.)

 

 

 

사업보고서를 살펴보면 이들 업체의 시장점유율을 확인해볼 수 있다.

 

 

 

주의해야할점은 밑에 기재되어 있듯이 정확한 PCB 제품 매출액이 아닌 별도재무제표의 매출액이다.

그리고 2019년에 보면 대덕전자 매출액이 다소 높은 것을 알 수 있는데

대덕전자는 2020년 5월 대덕으로부터 인적분할하여 코스피에 상장했으므로,

20년 이전은 대덕전자 별도로 떼어낸 실적은 아니라고 봐야할 것 같다.

 

 

연결 기준 분기 영업이익인데 실적은 진짜 좋은 것 같다.

그런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심텍이 더 우수한데, 왜 2022년 5월에 대덕전자가 심텍의 시가총액을 역전했을까?

 

<대덕전자가 양산 중인 FC-BGA.<사진=대덕전자>>

 

답은 두 회사의 다른 사업 전략에 있다.

대덕전자의 경우 FPC, Auto MLB 등의 저부가 사업의 비중을 줄이고 고부가제품인 FC-BGA(Flip Chip Ball Grid Array) 매출 확대에 주력하고 있는데 그 성과가 시장의 예상보다 우수하다.

반면 심텍의 경우 FC CSP, MCP 중심의 매출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심텍 품목별 매출액

 

 

 

FC-BGA는 더 고수준의 제조 능력이 요구되며 자동차의 전장화·자율주행 이슈로 반도체의 고속화, 고집적화 요구와 더불어 비메모리 반도체 수요의 증가로 FC-BGA 수요는 확대되고 있다.

더군다나 대덕전자의 FC-BGA의 OPM이 20%에 달하고 있고 환율 상승 또한 영업이익률 상승에 기여를 하고 있다.

 

 

심텍의 증권사 리포트를 살펴보면 2022년 글로벌적으로 FC BGA의 공급부족 지속과 5G 모바일 전환 가속화로 심텍은 낙수 효과로 MCP, FC CSP, GDDR6 제품 중심으로 수주가 증가하여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대덕전자 2022년 반기보고서 현금흐름표

 

하지만 성장세가 정체되거나 대덕전자의 증설에 따른 케파 증가로 FC BGA의 공급 부족이 완화되어도 그 낙수효과에 따른 수혜를 받을 수 있을까?

심텍도 마찬가지이지만, 대덕전자의 현금흐름표를 살펴보면 280억 가량의 차입금이 잡혀있고 유형자산 취득에 따른 투자활동현금흐름의 (-)로 적극적인 투자를 이어나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대덕전자 2022년 반기보고서 주석- 13.차입금

 

지금 당장은 산업의 성장으로 인해 두 종목 다 경쟁력이 있어보인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대덕전자에 프리미엄을 주고 있고, 사업의 방향과 제품을 살펴보면 그 프리미엄은 충분히 납득할만 해보인다.

 

 

 

공교롭게도 대덕전자의 FC-BGA는 2022년부터 실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었는데 1분기 실적 서프라이즈 발표하면서 그때 즈음 심텍의 시가총액을 역전했다.

 

 

비메모리 반도체에 따른 PCB 기판의 수요와 더불어 대덕전자의 증설에 따른 FC-BGA의 공급량 변화를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요즘 D램 업황과 전망이 좋지 않다.

국내에서 가장 큰 시총을 차지하고 있는 것도 반도체 업종이고, 수출에서 가장 큰 금액을 차지하는 것도 반도체다.

 

 

한국은 메모리 반도체에 강하다.

특히 메모리 반도체 중 DRAM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의 과점 구조가 이루어져 있고

(블룸버그에서 2021년 DRAM 단순 매출액을 산출한거라 실제 시장점유율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DRAM의 가격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가와 이익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삼성전자와 달리 순수 반도체 회사인 SK하이닉스는 DRAM 가격에 대한 탄력성이 더 크다.

 

 

D램 가격이 하락하면 국내 수출 악화와 반도체 실적·주가 하락으로 지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내년 D램 전망이 좋지 않다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4251952&memberNo=25584196&vType=VERTICAL 

 

내년 D램 수요 증가율 8.3% 역대 최저치···"가격 하락 전망"

[BY 청년일보] 트렌드포스 “내년 D램 공급 증가율 14.1% 수준 예상” 내년 낸드플래시 수요·공급 증가율··...

m.post.naver.com

국내 투자자라면 수출과 더불어 D램 가격도 당연히 모니터링해야 할 요소인 듯 하다.

 

금일부터 은행들의 예대마진이 공시된다고 함

저기에 나와있는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서 은행별 예대마진을 확인해봤다

https://portal.kfb.or.kr/compare/receiving_deposit_3.php

 

전국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금융상품정보, 금리/수수료 비교공시, 금융서비스정보, 소비자정보, 금융교육, 보이스피싱정보

portal.kfb.or.kr

 

 

 

토스뱅크가 제일 높다

 

가계대출금리가 6.6, 저축성수신금리가 1로 예대마진금리 5.6가 나왔구나

 

관세청 8월 1~20일 수출액 발표

https://www.yna.co.kr/view/AKR20220822033300002?input=1195m 

 

8월 1∼20일 무역적자 102억달러…14년만에 5개월째 적자 가능성(종합) | 연합뉴스

(세종=연합뉴스) 박원희 기자 = 8월 들어 20일까지 수출이 1년 전보다 4% 가까이 증가했지만, 수입 증가율은 20%를 웃돌아 이 기간 무역...

www.yna.co.kr

 

관세청에서 8월 1~20일 잠정 무역수출입통계를 발표

 

 

마지막 8월은 수출 잠정액인 334억 2천400만달러와 수입 잠정액인 436억 4천100만달러에 각각 3/2를 곱해준 수치

낙폭이 과대한거같아서 잠정 수치 발표액의 전년 대비 증가율을 2021년 8월 수치에 적용해서 계산해보면

 

 

그래도 낙폭이 크다

통상 월별 1-10, 11-20 대비 21-30의 수출액을 구해보면

 

 

21~30일의 수출액이 상대적으로 높긴 하다

수출상황도 좋지않고 지수도 빠지고있는건 맞지만 

이번 하락이 국내 펀더멘탈적 이슈는 아닌것으로 보이는게

전세계 모든 주식의 평균가격을 나타내는 ETF인 VT와 비교해봤을때 크게 떨어져있진 않다

 

 

다 같이 떨이지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수출도 그렇고 환율도 그렇고 수출 효자품목인 반도체 수출액도 그렇고 걱정이 되긴한다

마지막으로 품목별 수출액인데 증가율로 구해서 다 같이 보이게 할까 하려다

금액도 확인하는게 나을거같아서 오른쪽 범주를 클릭해서 개별 항목을 확인해보는게 더 나을거같다.

 

'매크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11월 수출 데이터 분석  (0) 2022.12.01
중국 Credit Impulse 지수의 국내 시장 영향  (5) 2022.09.13

 

코스닥 기업 나무기술의 사업보고서에 수록되어 있는 가트너에서 발표한 클라우드 시장 전망 데이터입니다.

 

 

오른쪽 상단에 범주를 클릭하시면 개별 항목의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0년을 기점으로 상승률로 계산.

 

 

전세계 시장의 경우 Iaas 시장의 전망 성장률이 월등해 보입니다.

예상 CAGR.

 

 

다음은 국내 시장 전망 데이터입니다.

 

 

마찬가지로 오른쪽 상단에 범주를 클릭하시면 개별 항목의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0년을 기점으로 상승률 계산.

 

 

국내 시장은 Daas 시장이 규모는 작지만 성장률 전망은 월등해 보이네요.

 

+ Recent posts